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

카카오 AI ‘카나나’의 진화: 멀티모달 혁신부터 공개 CBT까지

by 블루데이제이 2025. 5. 9.
728x90
반응형

 

2025년 5월 8일, 카카오는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에이전트 '카나나(Kanana)'의 퍼블릭 베타 테스트(CBT)를 공식적으로 시작하였다. 이 리포트는 카카나의 개발 과정에서 중요한 기술적 혁신 및 서비스 전략을 포함하여 △Kanana 모델 개발 배경과 멀티모달 혁신 기술 △서비스 출시 전에 시행된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편 및 비공식 CBT 준비 과정 △공식 CBT 시작 후 주요 기능 및 카카오톡 내 AI 서비스 확장 로드맵 △2025년 1분기 실적 분석과 향후 전략을 체계적으로 정리·분석한다. 카카나는 텍스트, 음성,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Kanana-o/a 모델을 통해 기술적 차별화를 달성하고자 하였으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아키텍처와 비공식 베타테스트를 거쳐 오늘부터 퍼블릭 CBT를 시작하게 되었다.

카나나 프로젝트의 성공적 진행은 카카오가 AI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비공식 CBT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 경험 개선과 서비스를 고도화할 예정이다. 카카오는 'AI 메이트' 및 'AI 생성형 검색' 기능을 통해 Kakao 플랫폼 내에서의 서비스 영역을 더욱 확장해 나갈 것이다. 이와 같은 다각적인 접근은 이용자들에게 보다 향상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카카오의 사업 반등 및 사용자 참여를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카카오는 새로운 AI 기술과 서비스 배포 전략을 통해 콘텐츠 부문에서의 부진을 극복하고 있으며, AI 시장에서의 선도적인 위치를 점유하기 위한 과감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카나나의 멀티모달 기능, 초개인화 에이전트 아키텍처 등이 AI 기술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모델 개발 및 멀티모달 혁신

Kanana-o 개발 배경

카카오는 최근 AI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통적인 텍스트 중심의 AI 모델을 넘어 멀티모달 기능을 지원하는 Kanana-o 모델을 개발하였습니다. 이 모델은 텍스트, 음성, 이미지라는 세 가지 형태의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한국어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카카오는 한국어 특유의 복잡한 발화 구조와 억양, 그리고 감정 인식을 한층 더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의 한국어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모델을 학습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어떻게 인식하고 반영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게 되었고, Kanana-o는 그러한 목표에 맞춰 설계되었습니다.

 

모델 병합(Model Merging) 기술

카카오는 Kanana-o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모델 병합(Model Merging)' 기술을 도입하였습니다. 이는 기존의 이미지 처리에 특화된 Kanana-v 모델과 음성 처리에 특화된 Kanana-a 모델을 통합하여, 두 모델의 장점을 결합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각 모델이 동일한 데이터로 학습하는 비효율성을 개선했습니다.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카카오는 '병합 학습(Joint Training)' 기술을 적용하여 텍스트, 이미지, 음성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는 모델이 시각적 및 청각적 정보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됩니다.

 

Kanana-a 오디오 언어모델 특성

Kanana-a 모델은 특히 음성 감정 인식을 강조하여 개발되었습니다. 이 모델은 억양, 말투, 목소리 떨림 등의 비언어적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파악합니다. 이러한 기능은 카카오의 음성 처리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카카오는 이를 위해 오픈AI의 세계적으로 검증된 '위스퍼(Whisper)'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음성 데이터를 정제하고 최적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서 더욱 자연스럽고 감정이 실린 반응을 생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카나나-a는 한국어에 대한 특별한 최적화도 이루어졌습니다.

 

초개인화 에이전트 아키텍처

Kanana-o는 개인 맞춤형 응답을 제공하기 위한 초개인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 아키텍처는 사용자의 과거 대화 기록, 세부적인 사용자 설정 정보 및 관심사를 반영하여 보다 정확하고 의미 있는 응답을 생성합니다. 카카오는 이러한 초개인화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를 더 깊이 이해하고, 보다 직관적인 대화 경험을 제공하려고 합니다. 인공지능이 단순히 질문에 답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의 개인적인 맥락까지 고려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베타테스트 준비 및 개인정보 정책 개편

개인정보 처리방침 변경 사항

카카오는 2025년 4월 28일부터 인공지능(AI) 서비스 '카나나(Kanana)'의 비공식 베타 테스트(CBT)를 앞두고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새로운 개인정보 처리방침에 따르면, 카나나는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기록하여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공유하는 대화 내용, 즉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성, 파일, URL 등이 수집되는 방식이다. 이는 카카오가 자사의 AI 메이트 서비스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특히, 카카오는 OpenAI를 개인정보 국외 위탁업체로 추가하여, AI 기능의 고도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로 인해 카카오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맞춘 정교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비공식 베타 테스트(CBT) 일정

카카오는 2025년 4월 28일을 기점으로 '카나나'의 비공식 베타 테스트(CBT)를 시작할 예정이었다. 비공식 CBT는 카카오톡과 별도로 운영되는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루어지며,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AI 기능을 선보일 계획이었다. 비공식 CBT는 초기 테스트 단계로서,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고자 하는 목적이 포함되어 있다. 이 일정은 지난 몇 개월 간의 내부 테스트 및 시장 반응을 고려하여 최종 결정된 것으로 보이며, 카카오는 이를 통해 서비스 고도화 및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CBT 목표 및 데이터 활용 방안

카카오의 '카나나' CBT의 주요 목표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비공식 베타 테스트를 통해 카카오는 사용자들이 AI 서비스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면밀히 분석할 예정이다. '카나나'는 사용자 간의 대화 내용을 이해하고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에이전트로 설계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카카오는 이용자의 요구에 적절히 대응함으로써 AI 서비스의 방향성을 정립할 방침이다. CBT 기간동안 수집된 데이터는 향후 서비스 개선과 정식 출시에 유용하게 활용될 예정이다.


공개 CBT 오픈 및 서비스 확장

퍼블릭 CBT 시작 및 참여 방법

2025년 5월 8일, 카카오는 AI 에이전트 '카나나(Kanana)'의 퍼블릭 베타테스트(CBT)를 공식적으로 시작했다. 이번 CBT는 초기 이용자들에게 그 기능을 시험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카카오는 이 과정을 통해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다. 이용자들은 카카오톡에서 카나나에 접근할 수 있으며, 참여 방법은 간단하다. 사용자는 카카오톡 앱에서 카나나와의 대화를 시작할 수 있으며, 1:1 또는 그룹 대화에서 카나나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카나나의 초개인화 기능이 어떻게 발휘되는지를 체험하게 된다.

 

기능 안정성·디자인 현황

카나나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기능의 안정성과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다. 초기 CBT는 이러한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실시간으로 개선점을 찾아내고 있다. 카카오는 초기 버전이 모든 기능을 완벽하게 갖추고 있지 않음을 인정하며, 사용자들의 프롬프트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로 발전시켜나갈 예정이다. 카카오는 이용자들이 카나나를 사용할 때 어떤 종류의 기능을 선호하는지, 그리고 이들이 요구하는 디자인 요소는 무엇인지에 대해 심도 깊은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AI 메이트·AI 생성형 검색 로드맵

카카오는 카나나를 통해 'AI 메이트'와 'AI 생성형 검색' 기능을 카카오톡 내에 통합할 계획이다. AI 메이트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하며, 이번 CBT에서 초기 버전의 피드백을 통해 업그레이드가 예정되어 있다. 특히, AI 메이트 쇼핑과 AI 메이트 로컬 기능은 이미 긍정적인 평을 받고 있으며, 이는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와 통합하여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예정이다. 또한, AI 생성형 검색 기능은 카카오톡의 콘텐츠 검색 경험을 혁신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능은 하반기에 예정된 카카오톡 개편에 맞춰 더욱 진화할 것이며, 사용자들이 보다 원활하게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사업 성과 및 향후 전략

2025년 1분기 실적 분석

2025년 1분기 동안 카카오는 연결 기준 매출액이 1조 8637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6.4% 감소하였고, 영업이익은 1054억 원으로 12.4% 줄어드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실적 하락은 방송 광고 시장 둔화와 콘텐츠 투자 위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콘텐츠 부문에서는 1분기 매출이 87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 감소하였으며, 이는 아티스트 활동의 집중으로 인한 기저효과와 함께 콘텐츠 투자 축소의 요인이 맞물려 저조한 성과를 나타냈습니다.

 

콘텐츠 부문 부진 영향

콘텐츠 부문에서의 부진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하였습니다. 카카오는 다양한 콘텐츠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나, 뮤직 매출액은 6% 감소한 4379억 원으로 나타났고, 스토리와 미디어 분야 매출도 각각 6%와 21% 감소하면서 전체적인 실적에 마이너스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게임 부문에서는 신작 부재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이익 감소가 가시화되었으며, 이러한 부진은 카카오의 전반적인 수익성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AI 서비스 확대와 시장 기대

카카오는 새로운 AI 서비스 '카나나'의 출범으로 실적 반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AI 서비스는 카카오의 성장을 이끌 새로운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회사는 AI 기반 서비스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오픈AI와의 전략적 협업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특히, 카나나의 개발은 사용자의 참여를 높이고,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과의 시너지를 창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AI 관련 서비스가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경우, 카카오는 실적 개선의 기회를 잡을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마무리

카카오의 '카나나'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퍼블릭 CBT를 기점으로, 기술적 혁신 및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구축 등 여러 전략을 통해 AI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Kanana-o/a 모델의 병합 기술과 초개인화 기능은 인공지능 에이전트의 본질적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보다 정교하게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였다. 현재까지의 과정에서 카카오는 개인정보 보호를 최우선으로 삼아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을 발전시키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향후, 카카오는 공개 CBT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서비스 품질을 제고하고, 카카오톡 내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향후 정식 버전에서의 사용자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AI 메이트와 생성형 검색 기능의 통합 등 다양한 서비스와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2025년 2분기 이후 이러한 AI 서비스들이 시장에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경우, 카카오는 실적 개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회를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카카노의 지속적 혁신과 서비스 확장은 향후 AI 분야에서의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할 것이며, 기업 입장에서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출처

카카오표 AI 막 올랐다…'카나나' 베타테스트 오픈
https://www.ddaily.co.kr/page/view/2025050809101196280
"카카오톡 하반기 개편"…카카오, '국민 메신저'에 'AI' 더한다
https://www.ddaily.co.kr/page/view/2025050809411755250
카카오, 오늘 카나나 CBT 공개...AI 서비스 줄줄이 내놓는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5080915456223
네이버 실적 기대감 높은데 카카오는 글쎄…전망 갈린 이유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29/0000387908
 카카오가 삼중감각 AI '카나나-o'를 만드는 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38/0002195949
카카오, 멀티모달 언어모델 ‘카나나-오’ 성능 공개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32719
카카오, 드디어 AI '카나나' 첫 선…분위기 반전 노린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465498?trc=main_list_news
카카오 '카나나' 이르면 28일 CBT…분위기 반전 가능할까 -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2410504459537
카카오, 1분기 영업이익 12% 감소한 1054억…“시장 둔화·투자 위축”
https://www.kukinews.com/article/view/kuk202505080017
카카오, 사람처럼 보고 듣고 느끼는 AI 개발...기술 경쟁력 '성큼'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94344
카카오, 카나나 CBT 앞두고 개인정보 처리방침 변경 -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504231902126726
Kakao to Update Privacy Policy Ahead of Beta Test for AI Service 'Kanana'
http://www.metajournal.news/news/articleView.html?idxno=25180

728x90
반응형